-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Life Hacks/정보 2023. 6. 16. 00:13728x90
매월 70만 원씩 5년간 적금하면, 최대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15일 출시되었어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볼게요!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가 뭐야?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면 가입할 수 있는 이름 그대로 청년세대를 지원하기 위해 만든 적금입니다. 병역을 이행한 사람이면 병역 이행 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에서 빼준다고 하니, 꼼꼼히 살펴보면 좋을 것 같아요.
728x90기본금리는 4% 대고, 소득 우대금리, 은행별 우대금리까지 하면 최대 6% 정도까지 이자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이자소득은 비과세라고 하니 최대 이익을 환산하면 연 7%에서 8%대로 계산 가능하다고 합니다.
월 최대 70만 원까지 넣을 수 있고, 꼭 70만 원이 아니더라도 70만 원 내에서 자유롭게 금액을 저금할 수 있는 자유적금입니다.
참고로 3년은 고정금리, 남은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그리고 중간에 납입이 없어도 계좌는 유지되며, 5년 만기입니다.
가입 제한 없어?
있습니다. 개인소득이 있어야 해요. 즉, 국세청에 소득이 있음을 증명할 수 있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22년부터 소득이 발생한 사람은 2022년 1월~12월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된 이후에 가입할 수 있다는 조건도 있네요.
그리고, 가입 신청자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 소득의 총합이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여야 합니다.
ⓒ금융위원회,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중위소득 이러한 가입 제한이 있어도 가입 이후의 소득 증가가 있어도 가입이 취소되지 않고, 직종이나 근무 회사의 규모 등에 따른 가입 제한도 없다는 점은 장점이겠네요. 또 같은 집에 살아도 개인이 가입요건을 갖췄다면 각 각 계좌를 만들 수 있어요!
그리고 청년내일저축계좌, 내일채움공제, 청년희망적금 등과 중복 혹은 동시가입도 가능합니다. 단,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만기 후에 순차 가입이 가능하답니다.
그 밖의 Q&A에 대한 답변은 아래 관련 링크를 첨부해 둘게요.
[Q&A] 청년도약계좌 궁금증 12가지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부 정책뉴스포털.
www.korea.kr
신청 방법은?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설이 가능한 은행의 앱을 통해서 별도서류 없이 비대면으로 개인소득 확인, 가구소득 확인 등의 절차를 진행한대요!
가구소득 확인 진행과정 등에서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리고 6월 가입 신청은 5부제로 운영한다고 하니 이점 참고해야 할 듯싶습니다. 5부제 관련 내용은 아래에 사진으로 공유할게요!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5부제 7월부터는 매월 2주간 가입신청 기간을 운영하는데, 7월 가입신청 기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kinfa.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_6월 15일부터 시작된 청년도약계좌, 방문 없이 가입해 봐요!_
반응형'Life Hacks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로 복지멤버십 신청 방법 (0) 2023.06.21 청년도약계좌 은행 금리 정리 (0) 2023.06.16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신청 - 정부24 (0) 2023.06.14 가정양육수당-똑똑한 활용법! (0) 2023.06.11 아동수당 지급대상, 지급시기 (0) 2023.06.10